먹고, 공부하고, 쉬고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먹고, 공부하고, 쉬고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0)
    • [휴] : 휴식을 취하다 (0)
    • [식] : 음식을 먹다 (19)
    • [학] : 학습하다 (30)

검색 레이어

먹고, 공부하고, 쉬고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31.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Specialty(전문)

    2024.06.07 by 휴식학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30.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Communication(소통) 잘한다는 것은?

    2024.06.06 by 휴식학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9.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Yes(긍정-관점, 태도)

    2024.06.05 by 휴식학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8.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Tracking(추적, 관리) 잘한다는 것은?

    2024.06.04 by 휴식학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7.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Report(글쓰기) 잘한다는 것은?

    2024.06.03 by 휴식학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6.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Action(실행)을 잘한다는 것은?

    2024.06.02 by 휴식학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5.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Management(운영, 관리)를 잘한다는 것은?

    2024.06.01 by 휴식학

  •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4.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Study(학습)을 잘한다는 것은?

    2024.05.31 by 휴식학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31.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Specialty(전문)

지금 하는 일이, 지금의 나를 만든다.  작심삼일. 참 많이 들은 말입니다. 많이 듣기도 했지만, 많이 해 본 행동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작심삼일도 못하거나 시도조차 안한 것들도 참 많습니다. 지나고보면, 그땐 뭐 그리 거창하게 생각하거나 온갖 합리적인 이유들을 다 갖다 붙이면서 작심삼일도 안했나 싶습니다. 다 의미없는 생각, 행동, 말, 시간을 사용하는데 최선을 다했던거죠. 작심삼일만 반복해도 지금보다 훨씬 더 나은 나를 만들 수 있는 훌륭한 무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하고 일이 쌓이면, 내가 도전할 수 있는 일의 영역이 많아집니다. 그러나 주니어때는 지금 하고 있는 일의 의미를 모르고 단편적으로 생각하고 일을 하는 오류를 많이 범합니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어떤 일들과 연결되어 결과물을 만..

[학] : 학습하다 2024. 6. 7. 06:56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30.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Communication(소통) 잘한다는 것은?

정말 중요한 것은 설명이다(배경과 맥락)  일 잘하는 사람은 맥락을 잘 파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계를 잘 맺고 유지하는 사람도 맥락을 잘 파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매력적인 사람 사람도 맥락을 잘 파악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맥락을 파악하기 좋은 습관은 '자아성찰'과 '역지사지'를 추천합니다. 그런데 온전한 자아성찰과 역지사지를 하기는 참 어렵습니다. 사람의 자기중심성은 기본값이기 때문입니다.  우리 주변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의 출발점은 '대인민감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일이 커지거나 작아지기도 합니다. 나와 우리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 대해 교감하지 못한다면, 엉뚱한 방향으로 시간과 노력을 사용할 것입니다. 차분히 생각해보면, 주변에서 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대인민감도'가 낮은 사람들..

[학] : 학습하다 2024. 6. 6. 06:55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9.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Yes(긍정-관점, 태도)

부정과 긍정은 선택의 결과물  왜 긍정적이여야 할까요? 긍정적인 사람과 함께 하면, 즐겁고 행복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긍정적인 사람들과 함께 했던 경험이 나에게도 행복했던 순간임을 알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사람에겐, 배울 점이 많습니다. 실제 오늘의 나의 모습은 긍정적인 사람들과 함께 하면서 체득한 것의 총합입니다. 나의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는, 나의 주변인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나의 주변에 긍정적인 기운이 많을수록, 나를 포함한 우리에게 성장, 행복, 즐거움의 선순환이 반복됩니다.  왜 부정적이면 안될까요? 부정적인 사람과 함께 하면, 힘 빠지고 불행해지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부정적인 사람들과 함께 했던 경험이 나에게도 불행했던 순간임을 알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사람에겐..

[학] : 학습하다 2024. 6. 5. 06:54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8.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Tracking(추적, 관리) 잘한다는 것은?

업무 계획도 중요하지만, 업무 추적과 관리는 더 중요하다(모든 계획은 완벽하지 않다)  업무 계획도 중요하지만 업무 추적 관리는 더 중요합니다. 앞서서 학습, 운영, 관리, 실행, 글쓰기에 대해서 살펴 보았습니다.  우리는 계획을 세우고 일을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빠지기 쉬운 실수는 모든 계획은 완벽하지 않다라는 점입니다. 계획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꼼꼼한 업무 추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계획을 세울때는 모든 일이든 할 수 있는 자신감이 있지만, 실제 실행(행동) 단계에 가서는 결과를 달성하는 것과 불일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racking(추적, 관리)는 앞서 Management(운영, 관리)에서 말했던 업무 관리, 소통 방식의 연장 선상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데일리 스탠딩 미팅(10 ~ 2..

[학] : 학습하다 2024. 6. 4. 06:52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7.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Report(글쓰기) 잘한다는 것은?

회의를 했으면, 회의록은 필수  일을 하면서 가장 많이 하는 것은 ‘회의'입니다. 그렇지만, 회의를 한다는 것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회의록'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습니다. 혹시나 내가 일을 하는 과정에서 누군가에게 회의록의 필요성, 작성법, 활용법에 대해서 배울 수 있다면 매우 소중한 기회입니다. 그 기회를 놓치지 말고, 왜 회의록을 작성해야 하고,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회의 전 - 중 - 후 과정에서 활용법에 대해 열심히 배우시길 추천합니다.  기획안=중간 보고서 = 최종 보고서  다음으로 ‘일’과 ‘일'을 연결하는 글쓰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여러분은 기획안, 중간 보고서, 최종 보고서가 동일한 문서라고 생각하나요? 이 질문을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다른 문서라..

[학] : 학습하다 2024. 6. 3. 06:51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6.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Action(실행)을 잘한다는 것은?

모든 계획은 실행 중심으로 세운다  실행할 수 없는 계획은 무의미합니다. 실행하지 않은 계획도 마찬가지입니다. 모든 계획은 실행 중심으로 구성해야 실효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계획은 계획대로, 실행은 실행대로, 결과는 결과대로 분리해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창하지 않더라도 작은 실행 단위의 계획을 정리해보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작은 단위의 실행 계획들을 유형별로 묶어서 범주화를 한다면 업무 추진과정에서 효율성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실행은 목표 달성을 위함이다  우리는 일을 하다보면 오류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분됩니다. 해야 할 일, 하면 좋은 일,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 하면 안되는 일, 절대 하면 안되는 일까지 총 다섯..

[학] : 학습하다 2024. 6. 2. 06:49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5.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 Management(운영, 관리)를 잘한다는 것은?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자  모든 일의 시작과 끝은 계획입니다. 계획을 하나씩 뜯어보면, 결국 ‘해야 할 일(To do lis)’이 모여 있습니다. 해야 할 일의 양이 많다보면 대부분의 사람은 기억할 수 없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적자생존'이 필요합니다. 기록하는 사람만이 일을 수행하고 완성도가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은 ‘체크리스트'입니다. 업무마다 적합하고 좋은 체크리스트(best practice)가 있습니다. 좋은 체크리스트를 만들거나 찾는 방법은 이미 ‘학습(Study)’의 필요성과 방법에서 공개했습니다. 답을 찾아가고 만드는 것은 나만의 몫입니다.    각종 탬플릿을 활용하자  기획안, 회의록, 제안서, 보고서 등 내가 만들어야 하는 각종 결과물이 있습니다. 이 또한, ‘탬플..

[학] : 학습하다 2024. 6. 1. 06:47

[성장하는 주니어 일잘러]24. 일머리 있는 사람-일머리 없는 사람의 차이; Study(학습)을 잘한다는 것은?

일머리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을 구분하는 것은 일상에서 자주 들어본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앞으로 일을 하면서 우리는 여러 일머리의 유무를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다면, 일머리가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며, 반대로 일머리가 없다는 것은 무엇일까요? 먼저, 일머리가 없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바쁜 척을 하지만 실제로는 제대로 된 결과를 내지 못합니다.      다른 사람의 일에도 끼어들며, 자신의 일을 소홀히 합니다.      지시한 날짜를 지키지 않고, 업무를 완수하지 못합니다.      좋은 조언을 받아도 듣지 않고, 자존심 때문에 거부합니다.      일의 우선순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며, 쉬운 일도 어렵게 만듭니다.      문제가 발생하면 자신이 노력한 것만 강..

[학] : 학습하다 2024. 5. 31. 07:46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7
다음
TISTORY
먹고, 공부하고, 쉬고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